오목 한판
♥♥"막걸리"의 오덕(五德)♥♥
조선조 중엽에 막걸리 좋아하는
이씨 성의 판서가 있었다.
언젠가 아들들이
"왜 아버님은 좋은 약주나 소주가 있는데
막걸리만을 좋아하십니까" 하고 물었다.
이에 이 판서는 소 쓸개 세 개를 구해 오라 시켰다. 그 한 쓸개 주머니에는 소주를, 다른 쓸개 주머니에는 약주를, 나머지 쓸개 주머니에는 막걸리를 가득 채우고 처마 밑에 매어 두었다.
며칠이 지난 후에 이 쓸개 주머니를 열어 보니 소주 담은 주머니는 구멍이 송송 나 있고 약주 담은 주머니는 상해서 얇아져 있는데 막걸리 담은 주머니는 오히려 이전보다 두꺼워져 있었다.
![]()
오덕(五德) 이란 취하되 인사불성일 만큼 취하지 않음이 일덕(一德)이요, 새참에 마시면 요기되는 것이 이덕(二德)이며, 힘 빠졌을 때 기운 돋우는 것이 삼덕(三德)이다. 안 되던 일도 마시고 넌지시 웃으면 되는 것이 사덕(四德)이며, 더불어 마시면 응어리 풀리는 것이 오덕(五德)이다. 옛날 관가나 향촌에서 큰 한잔 막걸리를 돌려 마심으로써 품었던 크고 작은 감정을 풀었던 향음(鄕飮)에서 비롯된 다섯 번째 덕일 것이다.인생은 주객(酒客)인거여.. 친구여! 세상은 주막(酒幕)인거여. 구천(九泉)을 돌던 영혼 사람의 모습으로 세상에 오는 것은 주막에 온 거여. 단 술 쓴 술로 취하러 온 거여.
주막 올 때 저 마실 잔 들고 오는 사람 없고. 갈 때도 저 마신 잔 들고 가는 사람 없어! 그와 같이 너 또한 빈손 쥐고 주막으로 취하러 온 거여.
잔 안들고 왔다고, 술 안파는 주막 없고. 잔 없어서 술 못마실 주막도 없지만, 네가 쓰는 그 잔은 네 것이 아닌 거여 갈 때는 주막에 놓고 가야 되는 거여. 단술 먹고 웃는 소리. 쓴술 먹다 우는 소리. 시끌벅적 했던 세상 그곳은 주막이고. 술 깨면 떠나가는 너는 나그네 인거여.
훗날 오는 손님에게 네 잔을 내어주고 때가 되면 홀연히, 빈손으로 가야하는 너는 酒客인거여.
그런 당신을 사랑합니다
출처 : 최고의 영양소
글쓴이 : 조영제 원글보기
메모 :
'좋은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크랩] 구경한번하세요 (0) | 2011.06.24 |
---|---|
[스크랩] ♥목욕은 한첩의 보약 보다 좋다 ♥ (0) | 2011.06.24 |
[스크랩] 인간의 한계는 없다. (0) | 2011.06.24 |
[스크랩] ?명(?) 판 결 (0) | 2011.06.24 |
[스크랩] 연예계 톱클라스 12명의 고진감래 (0) | 2011.06.24 |